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헬리코박터균 증상 및 전염성, 치료법 총 정리

by 비터스윗라이프 2022. 12. 11.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이라는 CF 기억하시나요?

 

굉장히 강력한 이미지의 CF 덕분에 헬리코박터라는 단어는 익숙해졌는데 정확히 어떤 균인지, 증상은 어떻게 되는지는 잘 모르는 게 사실입니다.

 

저와 같은 분들이라면 오늘 이 포스팅을 통해 간단하게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헬리코박터균증상

 

 

1. 헬리코박터균 감염이란?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는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 존재하는 나선형 모양의 세균이 감염을 일으킨 질환입니다.

 

강한 산성 환경인 위장 내에서도 살아남는 균으로 위 점막층을 자유롭게 다닙니다.

 

 

헬리코박터균
위에 기생하는 헬리코박터균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1994년 WHO(세계 보건기구)에서 발암 원인으로도 규정했다고 합니다.

 

감염 경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지만 사람 간 전파로 추정됩니다.

 

- 음식을 다같이 먹는 행위

 

- 입에서 입으로 감염

 

- 내시경 등의 기구를 통한 감염

 

 

 

2. 헬리코박터균 증상

 

증상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는 무증상 감염이며, 일부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있습니다.

 

소화 불량, 미란(피부 또는 점막 표층의 결손), 위궤양, 만성 위염, 십이지장 궤양, 위암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 감염에 대한 감수성 차이가 영향을 미쳐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3. 전염성 및 치료방법

 

아무래도 사람 간 전파로 감염되다 보니 전염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 특성 상 식사를 할 때 국이나 찌개를 같이 먹는 경우가 많다 보니 가족 간 전염도 발생하기 쉽습니다. 

 

입 안에 존재하는 균은 아니지만 위식도 역류나 구토가 있을 시 균이 혹여 입 안으로 올라올 수 있습니다.

 

 

치료는 무증상이 대부분이므로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는 없으나 증상이 있는 경우라면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야 합니다.

 

궤양이 발생하였다면 궤양을 치료하는 약물과 함께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합니다.

 

의심된다면 동네 내과를 방문하여 진료받아보세요.

 

댓글